수망리 물영아리 습지(사진=제주투데이DB)
수망리 물영아리 습지(사진=제주투데이DB)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시범사업’을 9개 마을에서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이는 민선8기 핵심 공약인 ‘제주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란 보호지역이나 생태 우수지역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지역주민이나 토지 소유자가 생태계 서비스를 유지하거나 증진 활동을 하는 경우 보상을 지급하는 제도다. 

도는 앞서 올해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2월까지 도 전역을 대상으로 현장 방문과 수요조사를 실시, 제주시 2개 마을과 서귀포시 7개 마을 총 9개마을에서 4억2000만원을 신청했다.

신청한 9개 마을에 대해 사업 대상지, 활동 유형, 사업비 등을 확정하기 위해 지난 2일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추진협의회’ 회의를 개최했다. 

활동유형별 사업비 적정성 여부와 활동 단가 등과 함께 인위적인 체험시설인 꽃길 조성, 해먹 및 밧줄체험공간 등 일부 사업을 조정해 9개 마을 2억 9900만원으로 심의·의결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제주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을 위한 것인 만큼 최종 확정된 9개 마을을 대상으로 사업 시행 전 전문가 교육을 실시하고 수시로 사업 이행을 점검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업 효과 분석도 진행할 계획이다. 

양제윤 도 기후환경국장은 “이번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시범사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효과 를 분석해 현재 진행 중인 제주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기본계획 연구 용역에 반영하겠다”며 “내년도부터 제주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사업을 본격 시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시범사업 대상 마을. (자료=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시범사업 대상 마을. (자료=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