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3일 오전 제주4.3평화공원에서 75주년 4.3희생자추념식이 거행되기 전, 시민사회단체가 이날 집회를 예고한 자칭 '서북청년단 구국결사대'의 퇴거를 요구하는 현수막을 들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올해 4월 3일 오전 제주4.3평화공원에서 75주년 4.3희생자추념식이 거행되기 전, 시민사회단체가 이날 집회를 예고한 자칭 '서북청년단 구국결사대'의 퇴거를 요구하는 현수막을 들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해방 정국에 백색 테러를 자행하고 4·3 당시에는 제주도민 학살을 일삼은 서북청년단을 재건하겠다는 인물들이 4·3희생자 유족회 관계자 및 민주노총 제주본부 관계자를 고소한 데 대해 4·3 희생자유족회 등이 18일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올해 4월 3일 4·3추념식장 인근에서  서북청년단을 재건하겠다는 인물들이 집회를 추진하면서 추념식 당일에 큰 소란이 일었다. 이날 4·3희생자 유족회 등은 경건히 지내야 할 추념식에 4·3 당시 도민 학살 주역인 서북청년단이 집회를 연 데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충분히 갈등이 예상되는 집회를 추념식 당일에 추진한 데 대해 희생자 추념에 훼방을 놓으려는 의도가 다분했다는 것. 하지만 4·3희생자 유족회 관계자 및 민주노총 제주본부 관계자는 오히려 집회 방해 혐의로 고소를 당다.

이 사건과 태영호 국회의원의 '4·3망언' 등은 4·3 관련 허위사실 유포 시 경우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의 필요성을 웅변하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제주지역본부는 "4·3 추념식 당일 4·3평화공원을 찾아 4·3에 대한 폄훼와 왜곡을 자행하더니, 적반하장으로 민주노총 제주본부와 4·3 희생자유족회 관계자를 집회 방해 혐의 등으로 고소하였다"고 밝혔다.

4·3 희생자유족회, 4·3 기념사업위원회, 민주노총 제주본부, 제주민예총은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북청년단 재건조직의 적반하장 고소 규탄과 4·3특별법 개정 및 경찰 소환조사에 대해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