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본격적인 여름이 다가오기 전 폭염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노동환경을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제주지부는 30일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대신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노조는 "기상청은 지난해 기록적 폭염에 이어 올해도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상황이 심각할 것으로 봤다"며 "학교에서 일하는 우리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극심한 더위가 이미 시작된 올해 여름 폭염 대책 없이 일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폭염 속 급식실은 55도까지 치솟아 노동자가 쓰러지는 경우가 많다. 비단 폭염과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만이 원인은 아니"라며 "이윤이 목적인 제조업에서 할 법한 낮은 인력배치도 원인이다. 공공기관의 경우 50~60명당 1명이 배치되지만 전국 시도교육청 급식노동자 1명은 150명을 감당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노조는 " 이러한 배치기준은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인원의 식사를 감당해야 하는 고강도 노동환경을 만들었다. 폭염과 겹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사고는 매해 반복되지만 교육당국은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미화 노동자들과 관련해서도 "학교 건물을 청소하면서도 제대로 된 휴게실이 없어 화장실에서, 계단 옆에서 쉬고 있다"며 "교육청은 노동자 개인에게 알아서 물을 마시고 쉬라고만 권할 것이 아니라, 폭염이 극심한 시간대에는 업무를 하지 않고 쉴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폭염 시기 가장 시급한 개선점으로 업무 강도 완화, 충분한 휴식시간 보장, 휴게실 설치 등을 꼽았다. 특히 고열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에겐 적절한 곳에 충분한 냉방기를 설치,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주도교육청은 노동자들이 어떤 고충을 겪는지 직접 확인하고 현장을 개선하라"며 "하루빨리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회의를 열어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묻고 폭염 대책을 세우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