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1일 오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는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 강행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기자)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1일 오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는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 강행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기자)

도내 시민사회에서 제2공항에 대한 주민투표 실시를 거듭 촉구하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9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 정부는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를 중단하고 즉각 도민결정권을 보장하라”고 강조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2공항 총사업비에 대한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의 협의가 마무리되고 기본계획 고시가 이뤄진다는 언론 보도가 제주도를 뒤엎고 있다”며 “잠재해 있던 갈등은 다시금 폭발할 기세”라고 말했다. 

이어“제2공항 총사업비는 애초 4.78조 원보다 44% 증액된 6.89조 원이 요청됐으나 사업면적은 763만㎡에서 550만㎡로 줄었다”며 “기재부는 타당성 재조사를 시행하는 예산 증액 기준선인 10%의 4배를 초과하는 예산 증액에도 불구하고, 감액 요구는 커녕 사업을 1단계와 2단계로 나눠서 진행할 것이라는 협의를 했다”고 지탄했다. 

또 “기존 수요예측 계획은 연간 최대 4500만 명이었으나 기본계획에 와서 3900만 명대로 주저앉았다”며 “코로나19 이후 제주 관광객 수는 1300만 명대로 머물러 있고, 올해 제주도의 관광객 유치 목표가 1400만 명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제주도의 관광객 증가는 이미 고점을 찍었다고 판단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국 제2공항 계획은 관광객의 감소 경향, 노령화 가속에 따른 인구감소 등 주요 통계와 예측을 빠트린 계획”이라며 “국토부가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에게 맡긴 용역의 결과 제주공항을 현대화하면 연간 최대 45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어 제2공항을 지을 이유는 없다”고 지적했다.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가 2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영훈 지사는 국토부에 제2공항 주민투표를 즉각 요구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가 2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영훈 지사는 국토부에 제2공항 주민투표를 즉각 요구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막대한 녹지·자연생태계·생물다양성을 파괴해 가며 그곳을 콘크리트로 뒤덮는 제2공항 건설이 지금 당장 제주도에 왜 필요한가”, “다양한 멸종위기 철새가 찾는 곳에 공한 걸설이 상식적인 일인가”, “기후위기와 온실가스 감축을 운운하며 공항개발에 나서는 것이 제주도의 미래를 위한 일인가”라며 비판했다. 

이들은 또 “국토부는 매번 제주도민의 의견을 가장 먼저 반영하겠다고 하지만 제2공항에 대한 제주도민의 동의를 얻은 적 없다”며 “도민 10명 중 8명은 제2공항에 대한 도민결정권을 요구하고 주민투표 실시를 강하게 열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의 미래를 책임지겠다며 도민결정권을 우선하겠다던 오영훈 지사는 갈등해결의 해법조차 제시하지 못하고 도민갈등을 강 건너 불구경한다”며 “위성곤 국회의원은 대놓고 제2공항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쓴소리했다. 

그러면서 “동해 유전만큼이나 허황되고 특정 이익집단과 투기세력의 사익에 봉사하는 것이 제2공항 개발”이라며 “윤석열 정부와 국토부는 즉각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 계획을 중단하고 도민의 결정권을 존중해 주민투표를 즉각 실시하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