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가 의료취약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전국 최초로 추진한 민관협력의원이 결국 위탁 운영 방식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4일 제43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양영수(아라동을, 진보당) 의원이 민관협력병원의 지속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 묻자 이같이 밝혔다.
민관협력의원은 서귀포시가 2020년부터 추진한 의료 지원 사업이다. 제주도가 건물 및 의료장비를 설치 및 소유하고 민간 의료진이 운영하는 방식으로, 전국 최초 사례다.
의료 사각지대의 응급환자 수용과 야간·휴일 진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이를 위해 국비 등 47억원 투입, 대정읍 상모리 일대 4885㎡ 부지에 연면적 885㎡의 의원동과 81㎡ 면적의 약국동을 지어둔 상태다.
그러나 1년 반 동안 방치되고 있다. 의원을 운영할 사업자를 찾지 못해서다. 시는 지난해 2월부터 지난 7월까지 6차례에 걸쳐 기준을 완화해가며 입찰 공고를 올렸으나 모두 유찰됐다.
양 의원은 이에 문제제기를 하며 "지역주민들은 하루빨리 민관협력의원이 개원, 지역에 양질의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해결책을 요구했다.
이에 오 지사는 "도지사로 일하며 가장 화나는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라며 "공모절차를 6차례 거쳤음에도 당초 예상했던 것과 다른 결과가 나타나고 있어 제 입장에서도 당혹스러운 상황"이라고 답했다.
이어 "더이상 공모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방향을 전환하는 문제까지 검토하고 있다"며 "이달이나 다음달 중 마지막 공모절차를 거칠텐데, 만약 진행이 안되면 위탁 방식으로 바꾸는 방안까지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귀포의료원에서 위탁 운영하는 방안에 대해 관련 예산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양 의원이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으로) 현 상황에서 의사를 구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서귀포의료원 위탁시 의료원이 갖는 부담도 상당히 있을 것"이라며 "방향 설정시 지역 공공의료기관이 함께할 수 있도록 조금 더 논의됐으면 한다"고 의견을 냈다. 오 지사는 이에 "다양한 방식으로 방안을 찾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