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0일 진행된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제431회 임시회 1차 회의에서 이남근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
지난달 10일 진행된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제431회 임시회 1차 회의에서 이남근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

개최 장소의 적정성, 공무원 동원 논란, 행사 취지에 어긋나는 진행 방식 등 말 많고 탈 많았던 ‘제주 차 없는 거리 걷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또다시 계획된다면 예산안 심사에서부터 통과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7일 제주도의회 제432회 임시회 행정자치위원회가 행정부지사를 상대로 진행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남근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달 개최된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를 두고 질의했다. 

이 의원은 “지난 9월2일 오영훈 도지사가 전체회의에서 ‘이런 행사를 하자’라고 한 게 시발점이 돼 5일 범도민걷기 추진협의회가 급하게 구성되고 부랴부랴 해서 개최일이 28일로 결정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사가 급하게 진행되는 과정을 두고 언론에서 상당히 많은 우려를 나타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사가 (행사 개최를) 강행했다. 이 정도의 우려이면 점검의 시기를 좀 더 거쳤어야 하지 않았느냐”고 물었다. 

이에 진명기 행정부지사는 “제주특별자치도가 탄소중립 도시를 지향하고 나아가고 있고 전국 비만율 1위 문제라든가 걷기 실천율이 체화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감안해서…”라며 행사 취지를 설명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취지는 공감이 가지만 근본적으로 그런 문제를 이 보여주기 행사 하나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느냐. 이게 행정의 인식이 맞느냐”라고 다시 물었다. 

이에 진명기 부지사는 “보여주기 행사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도에선 이 행사에 1만명이 참가했다고 하는데 한 기자가 오전 10시30분에 행사장에 갔더니 아무도 없었다고 하더라. 오전 9시부터 3시간을 진행했는데 보여주기식 동원 행정이라고 생각하지 않느냐”라며 “진짜로 도민들이 공감해서 하는 행사였으면 3시간 내내 도민들이 왔다 갔다 하는 게 행사의 목적 아니었으냐”라고 따졌다. 

지난달 28일 제주시 연북로 일부 구간에서 열린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에 오영훈 도지사가 참여하고 있다. (사진=제주특별자치도청 제공)
지난달 28일 제주시 연북로 일부 구간에서 열린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에 오영훈 도지사가 참여하고 있다. (사진=제주특별자치도청 제공)

이어 “아마 행사 시작과 함께 도지사가 맨 앞에서 출발하는 사진 한 장 찍고 도지사가 가버리니까 뒤에는 아무도 안 남았다는 얘기다. 또 차 없는 거리 행사를 위해서 주차장이 500대 필요했다. 말이 안 되는 행사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작년에 제주시에서 관덕정에 차 없는 거리를 만들자고 요청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당시 도정은 외면했다”며 “무근성 일대에 기가 막힌 지점들이 많다. 이런 데서 차 없는 거리를 했으면 관광 효과, 주변 상가의 매출 효과 이런 것도 볼 수 있지 않았겠느냐. 도지사의 한마디로 결정된 행사보다는 제주시가 제안한 행사가 더 타당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빨리 행사를 치르다 보니 공무원이 다 동원돼서 치러낸 느낌이다. 지금 공무원의 절반 이상이 40대 이하라고 보는데 이들이 생각하는 조직 문화는 휴일에 동원돼서 남들 사진 찍는 데 액세서리가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이에 진 부지사는 “동원이라는 말은 인정하지 않는다.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출자출연기관 그리고 유관 업체들로부터 이번 행사에 반 강제 동원됐다는 제보를 받았다. 앞으로 도정에서 진행하는 행사를 공무원으로 절반 채우겠다는 마음으로 진행하면 안 된다. 도민 공감대를 먼저 형성해야 한다. 이런 식의 행사를 또 진행한다면 예산안 심사 때 통과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