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성별 임금격차는 29.4%이다. OECD 국가 평균은 12.1%로 그에 비해 두 배 이상 높다. 성평등 사회까지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성평등한 제주 실현을 위한 올해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예산을 보면 여성친화도시 조성 사업 예산을 전년 대비 8.2% 증가한 48억 5,000만 원으로 확대했다. 성평등 정책 추진 및 문화확산 사업에도 9.7% 증가한 35억 원을 배정했다. 여성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1,852명의 여성인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있다.
또한, 성평등마을 조성사업을 확대하여 3,600만 원을 투입해 성평등 간담회와 리더십 강의를 운영한다. 여성 범죄 예방을 위해 안심 무인택배 보관함을 기존 16개소에서 18개소로 늘렸다. 여성 1인 사업장과 가구에는 비상벨 및 안심 지킴이 세트를 지원하고 있다.
제주도는 여성의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여성인력개발센터와 새로일하기센터에서 69개의 직업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1,544명의 여성이 디지털 튜터 전문가 양성과 AI 활용 마케팅 창업 교육을 받고 있다.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인턴 지원과 고용 유지 장려금도 확대하고 있다. 제주 공공기관 17곳의 성별임금격차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체감도 높은 성인지 정책 사례 확산을 위해 정책 주체인 공무원의 성인지 역량 강화를 기반으로 조직·제도·교육 등 도정 전반에 성인지 관점을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실‧국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실무 지원을 확대한다.
조직 차원에서는 도와 행정시 전 부서(219개 부서)에서 시행 중인 양성평등담당관제를 내실화한다. 각 부서가 자체 수립한 ‘성평등 목표제’의 이행 실적을 지표화할 계획이다. 실국별 2025년 업무보고 자료를 모니터링해 성인지적 수요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 성별영향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각 실‧국의 대상 사업에 대한 컨설팅을 확대 지원한다.
제도적으로는 2025년에 추진하는 3년 이상 법정 중장기 계획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24년 1개→ ‘25년 13개 목표)를 확대‧ 시행해 실질적인 정책 효과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사업비 500만 원 이상 도민 대상 정책홍보물 제작 시에도 사전 성별 영향평가를 시행할 계획이다.
도정 홍보물이 도의 가치관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도하지 않은 성 불평등 요소를 사전에 점검해 공공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도민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평등 정책 전문가와 제주도민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 컨설팅과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그 결과는 『2025년 제주특별자치도 성별영향평가 정책 개선 모니터링』에 포함한다. 공무원의 성인지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성인지 정책 업무 지침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또, 성주류화 제도(성별분리 통계, 법규‧사업‧홍보물 성별영향평가 등)별 업무 지침서뿐만 아니라, 성평등한 언어 활용과 보도자료 작성 가이드 및 성평등한 조직문화와 지역축제 만들기 등 구체적인 성인지 실무 지침을 마련‧보급에 나선다.
이은영 성평등여성정책관은 “제주도가 그동안 선도적으로 추진해온 양성평등정책을 바탕으로, 조직, 제도, 교육 등 도정 전반의 성인지 감수성을 높여 공직자와 도민이 모두 체감하는 성평등 빛나는 제주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