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청 중앙버스정류장. (사진=제주투데이 DB)
제주시청 중앙버스정류장. (사진=제주투데이 DB)

제주도가 버스 요금 인상 논의를 시작한 가운데 제주녹색당이 “자동차 우선 정책으로 후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12일 제주녹색당은 “오영훈 도정은 버스 요금 인상 계획을 철회하고 무상 교통을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제주녹색당은 “제주도가 버스 요금 인상을 예고했다. 작년 8월 대규모 버스 감차에 이어 버스 요금 인상까지 이어지는 버스정책은 제주도민들에게 버스 타기를 포기하라는 협박처럼 보인다”며 “현재 제주도의 버스 수송 분담률은 2023년 11%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에 반해 자동차의 수송 분담률은 56%에 달하고, 관광객들의 렌트카 사용률은 80%를 훌쩍 뛰어넘는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도의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 중 절반이 수송 분야에서 발생하고, 제주도의 도로 개설 비용은 천문학적”이라며 “제주시만 해도 작년 1120억 원을 투입해 도시계획도로 27개 노선을 발주했다. 제주도는 대중교통에 대한 투자에는 벌벌 떨면서 도로 건설에는 통 크게 예산을 배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제주도는 유가 상승과 인건비 증가, 물가 상승 등으로 버스 재정 부담이 가중돼 버스 요금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며 “문제는 비용이 아니라 정책이다. 오영훈 도정은 원희룡 도정의 실패한 대중교통정책을 무늬만 바꾼 채 그대로 답습해 그 책임을 버스를 이용하는 도민들에게 떠넘기려 한다”고 비판했다. 

제주녹색당은 “재작년 청송군의 버스 요금 전면 무료화를 시작으로 전남 완도군과 진도군, 영암군, 경북 봉화군, 의성군 등이 버스요금을 무상화했다”며 “청송군은 무상교통 정책으로 버스 이용이 증가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어르신 버스 요금 무료 대상을 65세 이상과 13세 미만 어린이로 확대했다. 청소년 버스요금 감면 정책에도 추진을 위해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며 “버스 요금에 대한 공론화를 통해 무상교통으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