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버스요금 인상을 검토 중인 가운데 도내 정당이 검토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11일 노동당 제주도당은 성명을 내고 “제주도정은 ‘버스요금조정’이란 이름의 ‘버스요금인상’ 추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제주도는 유가 상승, 인건비 증가, 물가 상승 등으로 재정부담이 가중된다며 버스요금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면서 △16개 시도 일반(19세 이상 성인, 간·지선 버스 기준) 요금 평균 1500원(현행 대비 25% 인상) △제주도 과거 평균 요금 인상률(17.16%) 적용 1400원 △다른 지방자치단체 최고 요금 수준 1700원(41.76% 인상) 등 세 가지 안을 제시했다.
노동당 제주도당은 “제주도정에게 버스요금 인상이 안정적인 대중교통을 위한 것인지, 버스회사의 이익을 챙겨주기 위함인지 묻고 싶다”며 “무엇보다 먼저 제주도정이 그동안 펼쳐왔던 버스 감차, 섬식정류장 등의 문제점부터 되돌아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버스운용행정과 정책의 문제점은 도외시하고 도민에게 버스요금을 더 부담하라는 방안을 내놓은 것은 버스운영과 정책의 잘못을 도민에게 떠넘기는 무책임한 대책”이라며 “한달도 안되는 공론화 기간도 형식적인 절차임을 자인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최근 청송과 완도에서 버스가 무료화되고, 인제, 진안, 군산 등에서 무료 대상이 확대되는 등 전국 지자체에서 무상교통정책이 확대되는 추세”라며 “제주도의 버스요금 인상은 이러한 추세에 역행한다. 버스이용 확대를 위해선 버스공영제를 실시하고, 버스요금 무료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도가 주최하는 버스 요금체계 개선방안 공청회는 오는 27일 농어업인회관에서 개최된다. 더불어 오는 24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 누리집을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