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제주도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10%대 초반에 불과하다. 이를 두 배 이상 끌어올리지 못한다면 수송분야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자가용 감축과 대중교통 확대는 반드시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 제주도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
제주도가 버스 요금 인상을 추진 중인 가운데 제주 지역 시민 사회는 버스 요금 인상 계획 중단을 촉구했다.
22일 제주도 물가위원회가 회의를 열고 버스 요금 인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버스 요금 인상으로 인한 대중교통 분담율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제주 지역 20개 시민사회 단체들로 꾸려진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중교통의 불씨를 살릴 것인가, 찬물을 끼얹을 것인가. 결정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며 버스요금 인상 계획 즉각 중단, 요금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을 촉구했다.
또 대중교통 취약지에 공영버스 증차를 통한 도민 이동권 보장과 준공영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론화를 요구했다.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오영훈 제주도정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영훈 도정이) RE100을 달성했다고 자축하면서도 뒤로는 300MW의 대규모 가스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대중교통 활성화를 외치며 양문형 버스, 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면서도 정작 버스 감차와 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도로 다이어트와 자전거 도로 확대를 말하면서도 도로는 넓어지고, 자동차는 여전히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기후재난을 막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일은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의무다. 특히 제주도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수송분야에서의 감축 필요는 절대적"이라면서 "그런데 제주도정은 말로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이야기하면서 실제로는 버스를 감차하고 요금까지 올리려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5년간 행정 주도로 주민 이동권을 제약하는 버스 감차를 단행한 광역자치단체는 찾아보기 힘들다. 제주도는 매우 이례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요금 인상은 더욱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다른 지자체들이 요금 인상을 억제하거나 다양한 대중교통 요금 할인제도를 시행 중인데, 제주도가 자체적인 요금 경감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과 오영훈 도정이 버스 요금을 인상하면 대중교통 이용을 포기하고 자가용을 이용하는 도민이 늘어날 것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