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조수진 기자)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조수진 기자)

70여년 전 3만여명의 제주도민이 희생당한 4·3. 국가폭력에 목숨을 잃고 가족을 잃고 공동체를 잃은 모든 영령과 유족들을 기리고 위로하는 날이 4월3일이다. 

이날 70여년 전 동포를 잔혹하게 학살했던 ‘서북청년단’의 이름을 건 극우단체 20여명이 집회를 예고했다. 장소는 국가추념식이 열리는 4·3평화공원 맞은편과 제주시청 일대다. 

희생자와 유족들에게 죽음보다 더한 공포를 가져다준 ‘서북청년단’. 제주 시민사회는 역사에서 사라져야 할 단어를 또다시 끄집어내려는 시도가 있자 이를 철저히 응징할 것을 예고하고 나섰다.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쳤다. 
 

알량한 이익 위해 도민사회 근간을 흔드는 행위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은 박주영 제주대 총학생회장.(사진=조수진 기자)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은 박주영 제주대 총학생회장.(사진=조수진 기자)

이날 박주영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은 “정통한 4·3의 후예로서 똑똑히 말한다.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고 폄훼하는 (극우단체의)현재 행동은 알량한 이익을 위해 도민사회 근간을 흔드는 행위”라며 “결코 묵인될 수 없는 규탄 받아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4·3은 아직도 해결해야 할 대한민국의 역사이며 ‘살아있는 역사’로서 도민들의 정신을 받아들여 영구히 계승되어야 할 역사”라며 “제주대 총학생회는 4·3의 진상규명과 제주도민의 명예회복을 위해 4·3의 정신을 정의롭게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도민 욕보이는 행위, 반드시 막아 정의로운 역사 실현하겠다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은 임기환 민주노총 제주본부장. (사진=조수진 기자)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은 임기환 민주노총 제주본부장. (사진=조수진 기자)

임기환 민주노총 제주본부장은 “역사 속에서 사라져야 할 서북청년당의 망령이 4·3 75주년을 맞이한 지금 그 실체가 다시 준동하고 있다”며 “이들은 추념식 당일 추념식 장소에서 학살과 테러를 구국의 결단이라고 이야기하며 집회를 하겠다고 한다”고 분개했다. 

이어 “이는 4·3영령과 유족들에게 대못질을 하는 행위”라며 “제주도민을 욕보이고 희롱하는 행위를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 우리는 도민들과 함께 모든 수단과 방법으로 서북청년단의 준동을 막아낼 것”이라고 굳게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75년을 어렵게 견뎌왔던 분들이 있었기에 우리 후손들이 살아남아 있다”며 “(서북청년단을 막는 것은)노동자를 비롯한 청년, 학생, 우리 국민들의 역사적 소명이다. 4·3 추념식날 그 정의로운 역사를 다시 실현하겠다”고 외쳤다. 
 

법적 지위·권한 없는 서청단, 단죄 투쟁에 함께 하겠다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은 김은형 민주노총 통일위원장. (사진=조수진 기자)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은 김은형 민주노총 통일위원장. (사진=조수진 기자)

김은형 민주노총 통일위원장은 “한일 과거사 문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역사마저 부정하는 세력들이 정치권력을 쥐고 5·18과 4·3민중항쟁의 역사를 왜곡, 훼손하고 피해자들의 상처에 또다시 가해를 하고 있다”며 “용서받을 수 없는 역사적 범죄자들이 활개를 치고 피해자와 역사를 난도질하는 만행이 일어나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어 “그 어떤 법적 지위도, 역할도, 권한도 부여 받지 못했던 서북청년단이라는 집단들이 제주도민을 학살하고 피로 난도질했던 역사에 대한 참회도, 반성도 없이 또다시 제주를 난도질하겠다는 역사적 참변을 예고하고 있다”고 분노했다. 

그러면서 “그 무엇으로도 용서치 못할 역사적 만행 앞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75년 전 ‘탄압이면 항쟁이다’라는 정신으로 진정한 평화를 위한 투쟁에, 서북청년단의 단죄를 위한 투쟁에 민주노총이 함께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날 제주 시민사회는 ‘서북청년단’ 이름을 딴 극우단체에 집회 중단을 촉구하며 유족과 도민들이 평화적으로 4·3 추념식에 참여하는 걸 막는 그 어떤 시도라도 반드시 막아내겠다고 경고했다. 

또 서청 집단들이 4·3 추념식날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사과나 참회가 아닌 4·3의 역사를 왜곡, 폄훼하는 행동을 자행한다면 반드시 응징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들은 추념식 당일 100여명을 동원, 극우단체와 희생자·유족 간 물리적 충돌을 막을 예정이다.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조수진 기자)
31일 오후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한라터에서 제주 시민사회가 기자회견을 열어 “학살자 서북청년단은 패륜적인 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조수진 기자)

이날 공동 기자회견을 연 단체는 제주대학교 총학생회, 제주4·3희생자유족청년회, 민주노총제주본부, 제주통일청년회, 제주다크투어, 제주여민회, 제주주민자치연대,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제주참여환경연대, 곶자왈사람들, 제주4·3연구소, 제주민예총, 노무현재단제주위원회, 시민정치연대제주가치, 제주YMCA, 제주여성인권연대,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제주4·3평화재단, 제주4·3희생자유족회 등이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