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두동 제주공공하수처리장(이하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이 첫삽을 떴다. 2016년 제주시 도두동 앞바다 '똥물 사태'로 대표되는 도두하수처리장 포화 및 수질 기준을 초과한 오수 방류 문제가 불거진 지 7년여 만이다.
도두동 앞바다 '똥물 사태'는 환경 인프라를 제대로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이 이뤄진 제주가 처한 현실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도두동 주민들과 시민사회가 수질 기준 초과 오수 방류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지만 첫삽을 뜨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다.
2019년 문재인 전 정부가 각 지자체에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는 사업을 1건씩 신청 받을 때 원희룡 전 제주도정은 제주신항 개발사업을 예타 면제 사업으로 신청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도 초대형 신항만 개발을 우선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제주투데이는 ([포커스] 제주 예타 면제 사업,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 선택해야)를 통해 도두하수처리장 예타 면제 사업 신청의 시급성을 알렸다.
당시 도두1동 마을이장은 제주투데이에 "아직도 여름마다 도두하수처리장은 처리 용량을 초과해 바다를 오염시키고 있다"며 "예타 면제 사업을 선정한다면 도두하수처리장이 1순위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환경 문제가 도두동 만의 문제인가. 제주도 전체의 문제”라며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하수처리 문제를 놔두고 제주신항을 예타 면제사업으로 결정한다면 제주도의 앞길이 어둡다”며 제주도 당국에 직접 목소리를 낼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제주투데이 보도 후 도두동 주민들이 다시 한 번 문제를 제기한 뒤에야 제주도는 제주신항 개발 사업 대신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을 예타 면제 사업으로 신청했다. 제주도정이 일하는 방식이 이랬다. 그때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이 아니라 제주신항 개발사업이 예타 면제 사업으로 지정되었다면, 도두하수처리장 착공 날짜는 훨씬 더 늦어졌을 것이다.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은 이런 과정을 거쳐 15일에야 비로소 첫 삽을 떴다.
제주도에 따르면 15일 착공식에서 오영훈 지사는 “제주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핵심기반이 될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을 품은 도두동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환경기초시설을 갖춘 청정마을로 거듭날 것”이라며 “현대화사업을 통해 하수처리난과 바다오염, 악취로 인한 생활불편이 해소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수처리장의 오수로 인한 바다 생태계 훼손 및 주민 불편 문제는 비단 도두동 만의 사안이 아니다. 당장 월정리 해녀들이 월정리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공사를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해녀들이 여전히 증설 공사 반대의 목소리를 강력히 내고 있지만 마을회는 반대 결의를 풀고 행정과 협의에 나섰다. 처리량 증설 및 지중화를 통한 악취 저감을 도모하는 현대화 사업을 행정에 강력히 요구한 도두동 마을회와 대비된다.
도두동 앞바다 '똥물 사태'로 상징되는 도내 환경 인프라 부족 문제는 앞으로도 첩첩산중이다. 특히 정부는 초대형 토목 개발사업 2건을 계획하고 있다. 제2공항 개발사업과 제주신항만 개발사업이 그것이다. 환경 부담을 얼마나 촉진할지에 대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하지만 이미 용량을 초과한 도내 다수 하수처리장 뿐만 아니라 폐기물 매립장 및 쓰레기처리장 역시 신설 혹은 증설이 불가피하다.
우여곡절 끝에 첫삽을 뜬 도두동 현대화 사업은 도두 앞바다 '똥물 사태' 이후 10년이 훌쩍 넘은 2028년에야 준공될 예정이다. 도민은 언제까지 소 잃고 외양간을 고쳐나가는 방식으로 일하는 행정을 바라보아야 할까. 환경인프라 확보 후 개발 여부를 타진 하는 방식의 행정, 제주도민에겐 사치스러운 꿈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