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순 전 경찰서장.
문형순 전 경찰서장.

제주4.3 광풍 속 민간인 총살 명령을 거부하며 무고한 도민 수백명을 구한 고 문형순 전 경찰서장. 그가 세상을 떠난지 58년만에 국가유공자로 결정됐다.

제주경찰청은 지난해 12월 문형순 전 모슬포경찰서장이 6.25 참전유공자로 등록됐다는 결과를 국가보훈부로부터 통보받았다고  3일 밝혔다.

제주청은 그간 문 전 서장의 독립운동 사료를 발굴, 독립유공자 심사를 보훈부에 6차례 걸쳐 요청했다. 그러나 입증자료 미비 등 이유로 서훈을 받지 못했다.

이에 문 전 서장이 6.25전쟁 당시 경찰로 재직하며 '지리산전투사령부'에 근무한 이력에 착안, 지난 7월 독립유공이 아닌 참전유공으로 보훈부에 서훈을 요청했다. 

1897년 평안남도 안주 출생인 문 전 서장은 신흥무관학교 졸업 후 1920년대 만주 일대 항일단체에서 적극 활동했다.

1935년부터는 지하공작대로 하북지역에서 암약했으며, 1945년에는 임정 공식 군조직인 광복군 소속으로 화북에서 활약했다.

 1952년 지리산전투경찰사령부 사령원부. (사진=제주경찰청 제공)
 1952년 지리산전투경찰사령부 사령원부. (사진=제주경찰청 제공)

해방 후인 1947년부터는 제주청 소속 경찰로 지냈다. 특히 제주4.3 당시 예비검속으로 학살 위기에 처한 주민 수백명을 구한 공덕을 세우기도 했다.

모슬포경찰서장 재임 당시 도민 약 100명이 좌익 혐의로 처형될 위기에 처하자 자수시킨 후 방면했다. 또 성산포경찰서장 재임 중에도 억울하게 좌익 혐의를 받는 예비검속자 295명에 대한 계엄군의 총살 명령에 "부당함으로 불이행한다"고 거부했다.

이 공로로 2018년 '올해의 경찰영웅'에 선정됐고, 제주경찰청에는 그의 흉상도 세워졌다. 제주청은 이번 국가유공자 등록에 따라 제주호국원과 협의, 국립묘지 안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1953년 제주청 방호계장을 끝으로 퇴직한 문 전 서장은 1966년 6월 20일 제주도립병원에서 향년 70세로 유족 없이 세상을 떠났다. 현재 문 전 서장은 제주 평안도민 공동묘지에 영면해 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