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공개된 AI 디지털교과서가 졸속 추진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주지부는 10일 성명을 내고 “제주도교육청은 AI 디지털교과서 선정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제주도교육청은 지난 9일 제주한라대학교 한라컨벤션센터에서 ‘2024년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선도학교 성과공유회 및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전시회’를 개최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내년 1학기부터 교실에 도입된다. 초등학교 3~4학년(수학·영어·정보), 중학교(수학·영어·정보), 고등학교(수학·정보), 특수학교 초등과정 3~4학년 등을 먼저 도입하고, 이후 2028년까지 순차적으로 적용 과목을 넓혀간다.

전교조 제주는 “AI 디지털교과서는 많은 교육적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반복적인 문제풀이식으로 진행돼 2022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인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의성, 디지털 소양을 기르는 것과 무관하다는 것이 시연에 참가했던 교사들의 중론”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디지털 기기 과의존, 기기 사용에 따른 개인정보의 문제 등도 해결방안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높은 구독료에 따른 지방교육재정 악화 문제도 우려된다는 경고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졸속 추진에 따른 학교 파행 등의 문제도 심각하다.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며 인터넷 환경 및 디바이스 등을 점검해야 하지만 이는 3월 이후에나 가능한 얘기”라며 “무리한 AI 디지털교과서 추진은 ‘졸속’ 도입 논란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더불어 “당장 내년 3월에 사용할 교과서를 12월 중순이 돼가는 시점에서야 실물을 확인하고, 선정 절차에 돌입하라는 공문을 받은 교사들은 황당하다”며 “교과간 연계가 불가능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오랫동안 교사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나이스 체계까지 바꾼게 무의미해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현재 국회에는 AI 디지털교과서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있어 제주도교육감은 사업 추진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며 △AI 디지털 교과서 선정 절차 연기 공문 발송 △학부모 대상 AI 디지털교과서 연수 진행 뒤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