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안탄압 저지 및 민주수호 제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22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박지희 기자)
'공안탄압 저지 및 민주수호 제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22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박지희 기자)

국가정보원과 경찰이 제주지역 진보인사 자택을 압수수색한 것과 관련, 도내 32개 진보정당 및 시민단체들이 대책위원회를 꾸려 공동 대응에 나선다.

'공안탄압 저지 및 민주수호 제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22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열었다.

국가정보원과 경찰은 지난 9일 강은주 전 진보당 제주도당 위원장의 자택과 사무실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바 있다. ‘민중자통전위’라는 반국가단체를 결성하는 등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가 적용됐다.

이날 압수수색은 창원지방법원의 영장 발부로 강 전 위원장 외에 타 지역 진보인사 5명에 대해서도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졌다. 

이에 반발한 도내 시민사회단체 및 진보정당 32개는 공안탄압에 공동대응하고, 진행경과를 서로 공유하기 위해 대책위를 구성했다.

대책위는 "헌법재판소에 국가보안법 위헌 심판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혐의로 압수수색한 것은 조직사건을 조작하려는 의도로 충분히 의심되는 상황"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이태원 참사로 무고한 국민 158명이 죽음을 당했지만 윤석열 정권은 전형적인 정권위기 탈출용 공안사건을 만들어냈다"면서 "사전에 참사를 막지 못한 정권이 사후에 정권 책임모면용 사건을 만드는 것은 '박근혜 정권의 데자뷰'"라고 일갈했다.

또 "강 전 위원장은 지난해 수술받은 암이 재발해 국립암센터를 오가며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말기 암 환자인데다가, 거동까지 불편한 상황"이라면서 "그는 16시간 가량의 압수수색으로 인해 제주대병원 응급실로 실려가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은 이미 세월호 참사 때 정권위기 탈출용 각종 사건을 경험했다. 이태원 참사 책임을 모면하고 범국민적 촛불항쟁이 커지는 것을 두려워 해 벌이는 윤석열 정권의 행태를 국민들은 더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상식과 인권, 민족의 화해와 통일을 추구해야할 시기에 사문화된 국가보안법을 앞세워 저지른 만행은 명백한 인권유린이며, 반민주적 국가폭력"이라면서 "우리는 대한민국이 민주사회로 나아가느냐, 다시금 반민주 독재국가로 떨어지느냐의 갈림길에 서있다는 인식을 함께해 대책위 구성 발족을 하게 됐다"고 힘줘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는 정권위기 탈출용 공안탄압을 당장 중단하고, 국가보안법을 전면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대책위는 세계인권선언 기념일인 다음달 10일 국가보안법 폐지와 윤석열 정권의 공안탄압 저지, 민주주의 수호 등에 관한 공동입장이 담긴 '제주도민 시국선언'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대책위에는 ▲6.15남측위 제주본부 ▲강정마을해군기지 반대주민회 ▲강정친구들 ▲강정평화네트워크 ▲노동당 제주도당 ▲민주노동자 전국회의 제주지부 ▲비무장평화의 섬 제주를 만드는 사람들 ▲서귀포시민연대 ▲서귀포여성회 ▲성프란치스코평화센터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전국농민회총연맹제주도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제주지역본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제주도연합 ▲정의당제주도당 ▲제주녹색당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제주대학교민주동문회 ▲제주민예총 ▲제주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 ▲제주시민정치연대 제주가치 ▲제주여민회 ▲제주여성회 ▲제주주민자치연대 ▲제주통일청년회 ▲제주평화나비 ▲제주평화인권센터 ▲제주평화인권연구소 왓 ▲제주풀무질 ▲제주환경운동연합 ▲진보당제주도당 ▲평등노동자회제주위원회가 참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