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제주도지사가 기존 제주들불축제의 방식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재차 피력했다.
11일 제주도의회는 본회의장에서 제415회 2차 본회의를 열어 도정질문을 진행했다.
이날 강성의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화북동)은 산불 위험과 기후위기 시대 역행한다는 부정적인 여론 등이 높아지고 있는 제주들불축제의 개선 방안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오 지사는 “제주들불축제가 우수축제로 발굴되면서 위상이 높아지긴 했지만 개최 시기가 매우 건조한 때이고 산불에 상당히 취약한 수준이기 때문에 들불을 놓는 것자체는 상당히 어렵다”고 답했다.
앞서 지난달 오 지사는 도정 현안 공유 간담회에서 “기후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이나 아시아, 세계적인 분위기가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며 “제주들불축제의 발전 방향을 다시 한 번 논의해야 할 때”라고 부정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날 강 의원은 “제주들불축제는 생태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이 있지만 25년간 해온 축제이고 제주도에서 최고의 위상을 가진 축제”라며 “불 없는 축제로 가면 맥이 빠지고 앙꼬 없는 찐빵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어 “제주도는 연대와 봉수대(산봉우리에 봉화를 올릴 수 있게 설치한 시설)를 갖고 있는데 이를 활용할 방법은 없을까”라며 “(연대와 봉수대를 활용해)제주 곳곳에서 (불을 활용한 축제를)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건 어떨까”라고 제안했다.
들불축제의 오름 전체를 불태우는 방식이 아니라 연대와 봉수대에 불을 올리는 방식을 제안한 것이다. 호응이 높은 관광 아이템인 ‘불’ 행사를 포기하긴 어렵다는 취지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오 지사는 “불을 활용한 방식은 현대사회에 적절치 않다”며 “어쨌든 불씨를 날려서도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제주들불축제는 지난달 9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됐으나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제주시는 오름 불놓기 등 불 관련 프로그램을 전면 취소하고 대폭 축소해 운영한 바 있다.
- 제주들불축제, 어떻게 할 것인가...카톡 소통방 운영
- 제주들불축제 운영 방향, 시민 의견 듣는다
- 오영훈 제주지사 “들불축제, 달라진 세계 분위기에 맞춰 재논의해야”
- 제주들불축제 전면 폐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 '제주들불축제' 오름불놓기 취소...시민단체, "환영"
- 근본없는 들불축제...이젠 멈춰야 한다
- 제주들불축제를 반대하는 10가지 이유
- [제주투데이X제주MBC] 강충룡&들불축제
- 제주들불축제 존치 가닥 ... "불 놓기 대안 찾아야" 권고
- '기후위기 시대 역행' 제주들불축제 ... 27년만에 '오름 불놓기' 폐지
- 기후위기 시대 반영 '불' 없는 제주들불축제...'빛'으로 대신
- ‘불 없는’ 들불축제, 시민들이 직접 결정했는데..오름 불놓기 다시 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