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행정자위원회(위원장 강철남)가 4·3학살 주범 박진경 대령 추도비 옆에 당시 역사를 명시한 4·3 안내판을 설치하는 데 동의했다.
20일, 행자위는 제주도의회 제415회 임시회 제2차 회의에서'박진경 대령 추모비 올바른 4·3 안내판 설치에 대한 청원'건을 부대의견을 달고 가결했다.
행자위는 4·3희생자 및 유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4·3 화해와 상생 의미를 되살리며, 다음 세대가 4·3에 대한 제대로 된 역사를 알 수 있도록 객관적 사실을 담은 안내핀 설치 등 적절한 조치를 검토토록 의견을 냈다.
또한 안내판 형식·내용과 관련해서 또 다른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문가 자문단 구성 등을 통해 역사적 사실, 평가 등이 객관적으로 기술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했다.
아울러 도내 4·3관련 표지석 및 기념비 내용 중 잘못된 표현이나 사실이 기록된 사항에 대해 타 시·도 사례 참고 등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정비해 나갈 것도 주문했다.
박진경 대령은 4·3 당시 제주도민을 향해 무차별 강경진압 작전을 펼쳤던 인물로 그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묻기는커녕 그 죽음을 기리는 비석이 제주도에 떡 하니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제주지역 4·3단체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은 박진경 추도비 옆에 당시 역사를 명시한 4·3 안내판이라도 설치해줄 것을 도의회에 요청했다.
강철남 위원장은 가결에 앞서 제주특별자치도 보훈청이 시민단체가 박진경 추도비에 씌운 철창은 재빠르게 철거하면서 4·3 역사 안내판 설치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위원장은 "의회를 비롯해 박진경 추도비 철거 주장까지 있다. 보훈청은 어떻게 하겠다는 계획이 있냐"고 물었다.
양홍준 보훈청장은 "보훈청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민화합이다. 이번 상임위에서 결정해 주신 의견을 토대로 4·3 유관기관과 협의해 화해와 상생의 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최대한 연구를 좀 하겠다"고 했다.
이에 강철남 의원은 "도민의 눈과 가슴으로 판단해야 한다"주문하면서 제주도보훈청이 박진경 추도비에 철장을 씌운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고발한 것도 문제 삼았다.
제주4·3기념사업회를 비롯한 제주지역 시민사회 단체는 지난해 3월 10일 박진경 추도비에 '역사의 감옥에 가두다'라는 제목의 감옥을 설치한 바 있다.
보훈청은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위반 혐의로 조형물을 설치한 단체들을 고발했다.
강철남 의원은 "해당 조형물은 보훈청이 발빠르게 처리하더라"라면서 "고발건은 계속 유지되는 상황이냐"고 물었다.
양홍준 청장은 "고발한 15개 시민단체 중 한 군데만 불구속 송치됐고, 나머지 단체는 증거 불충분으로 기각됐다"고 답했다.
강 의원은 "고발건이 계속 진행되는 중입니까. 아니면 끝난 겁니까"라고 되물었고, 양 청장은 "그 상태로 그냥 있다"고 했다.
그러자 강 의원은 "이 부분까지도 보훈청이 화해와 상생을 해야하지 않냐. 이들도 역사적 사실을 바로 잡고 싶어하는 시민으로서 그 역할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경 추도비는 현재 제주시 한울누리공원 인근 도로에 있다. 2021년 국립제주호국원 조성사업에 따라 공비 완멸 기념비 등과 함께 기존 제주시 충혼묘지에서 지금의 자리로 이설됐다.
- “박진경 추도비 옆에 ‘4·3 안내판’ 설치” 도의회 청원
- ‘4·3 영웅’ 문형순과 ‘4·3 진압’ 경찰이 나란히?
- “제주도 보훈청, 4·3 학살자 박진경 감싸고 도는 행태 중단해야”
- ‘4·3학살 주역’ 박진경 추도비도 무단점유? "용도 맞지 않는 시설물"
- 제주도 보훈청, 도민 학살 주역 ‘탈옥’시키다
- 제주4·3 학살 주범 박진경...역사의 감옥에 갇히다
- "4·3 학살 주범 박진경 추도비 철거 불가능하면 단죄비라도"
- [제주MBC&제주투데이]키워드뉴스_13년받고 3년 더&가해자 없는 4·3
- “제주4·3 화해와 상생? 가해자도 못 밝히는데 어불성설”
- “4·3 무차별 진압 박진경 추도비, 국립묘지 설치하면 철거운동”
- 4·3 무차별 진압한 박진경 추도비, 결국 국립묘지에 들어서나
- “박진경 추도비 안내판 설치 청원 상임위 통과 환영”
- 보훈청, 박진경 추도비 안내판 설치 눈치보기
- “ ‘제주도민 30만 희생 무방’ 박진경 발언, 추가 조사 필요하다”? 제주도의 황당한 입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