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회에서 열린 제주 성평등 정책 포럼에서 '제주평화인권헌장' 반대단체가 시위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23일 국회에서 열린 제주 성평등 정책 포럼에서 '제주평화인권헌장' 반대단체가 시위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23일 국회에서 열린 제주 성평등 정책 포럼이 ‘제주평화인권헌장’ 반대측의 난입으로 파행됐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지역 문대림·김한규·위성곤 국회의원 3인은 23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2024 제주특별자치도 성평등 정책 국회 포럼’을 개최했다. 주제는 ‘제주도 성주류화 정책의 혁신과 성과’였다. 

이날 포럼에는 김원정 성별영향평가센터장은 ‘성주류화 추진방식 다각화와 추진체계 발전 전망’을, 이은영 제주도 성평등여성정책관은 ‘제주특별자치도 성주류화 모델의 혁신과 성과’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패널 토론으로는 문순덕 제주여성가족연구원장이 좌장을 맡고 △이은아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장 △노경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책사업실장 △강성의 제주도의회 의원 △전윤정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현정 한겨레신문 젠더팀장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2시간이 예정돼 있던 포럼은 반대 시위로 1시간여만에 파행을 맞았다. ‘동성애 차별금지법 제주평화인권헌장 제정 반대’ 등의 피켓을 든 50여명의 참가자들이 행사장을 메웠다. 

행사 시작에 앞서 축사가 끝나자 이들은 “성인지 예산은 필요없다”, “차별금지법은 동성애를 조장한다”, “남자 며느리를 받기 싫다” 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제주도 관계자 등은 “행사를 마무리한 뒤 참가자들의 이야기를 듣겠다. 원활한 진행을 도와달라”며 “대표자가 있다면 그분과 이야기 나누겠다”고 중재에 나섰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구호를 반복했다. 

현장에 참석한 도민 A씨에 따르면 반대 시위 참가자들은 도민이 아닌 수도권 지역 기독교인들로 추정된다. 

A씨는 “제주도 성평등 정책이 전국에서 모범사례로 일컬어지면서 마련된 자리인 줄로 알고 있다”며 “대화로 풀어나가자는 중재도 무시하고 행사장을 난장판으로 만드는 것은 폭력”이라고 말했다. 

종교단체 등으로 이뤄진 제주평화인권헌장 반대 측의 물리적 점거는 지난달 9일 열린 ‘제주평화인권헌장안 도민 공청회’에서도 볼 수 있었다. 

반대 측은 공청회가 시작되자 단상 위에 올라가 “헌장안에 포괄적 차별금지법이 포함돼 있다”며 “소수자의 인권과 삶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다수 인권이 역차별 받는 부작용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하며 행사 진행을 막았다. 결국 행사는 10분 만에 종료됐다. 

제주평화인권헌장은 제주 4·3과 평화, 인권 등의 내용이 담긴 규범이다. 선언적 성격으로, 강제적 구속력은 없다. 민선 8기 제주도정의 10대 핵심 공약 중 하나로, 지난 4월부터 원탁회의 등을 거쳐 지난달 초안이 완성됐다. 

헌장안을 조문화하는 과정에는 시민들이 직접 토론과 숙의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과별로 10명씩 조를 이뤄 헌장에 담아야 할 가치 및 권리, 도민이 바라는 헌장의 세부내용에 대해 토론하고, 분과별 헌장의 세부내용을 구체적으로 조문화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