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도교육청과의 집단임금교섭 결렬로 다음달 6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지난 29일 오전 제주도교육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금교섭과 임금체계 협의의 파행의 책임은 교육관료 뒤에 숨어 책임지지 않고 있는 제주도교육감에 책임이 있다"며고 이같이 밝혔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지난 10일부터 25일까지 전체 조합원 9만2948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82.8%(7만6926명)가 투표했다. 그 중 찬성표는 93.2%(7만1698명)에 달했다.
연대회의는 "지난 6월 17만 학교비정규직노동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집단임금교섭을 시작하여 7월 24일 1차 본교섭부터 5번의 실무교섭과 3번의 본교섭에 이르기까지 노사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결렬됐다"며 "이후 지난 10월 21일 중앙노동위원회의는 노사간 이견이 크며 합의에 이르기 어렵다고 판단하며, 조정중지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는 교섭 기간 동안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 정상화, 오래 일할수록 커지는 임금격차문제 해소,복리후생수당 동일기준 적용, 학교비정규직 직무가치에 따른 정당한 직무가치 인정,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체계 개편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도교육청은 9차례의 교섭과 조정회의 과정에서 사측은 여전히 전년도 인상수준만을 고집하며 우리 노동가치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과 고민조차 하지 않고 있으며, 배타적인 태도로만 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대회의는 "물가폭등 상황에서 실질임금 하락을 방치하고 비정규직 차별 격차를 심화시키는 그간의 사측 교섭행태로 인하여 현장의 투쟁의 열기는 점점 뜨거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노동조합은 쟁의행위 찬반투표의 압도적 찬성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지금과 같이 아무 고민 없는 태도로 교섭에 임한다면 연대회의는 전국적으로 총력 투쟁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며 "이러한 투쟁은 노사관계를 더욱 파국으로 몰아갈 것이며, 사측의 무책임함을 부각시키는 결과만 가져올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사측이 적선하듯 던지는 인상액을 받아서 교섭을 끝낼 생각은 추호도 없다"며 "이제껏 타결을 위해 보인 연대회의의 노력을 무시한다면 남은 건 투쟁뿐"이라고 총파업을 예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