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평가보고회가 28일 도청 한라홀에서 열렸다.(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평가보고회가 28일 도청 한라홀에서 열렸다.(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제주도는 29일 오전 도청 한라홀에서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평가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진명기 행정부지사, 김창범 4·3유족회장, 오임종 4·3실무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실·국 및 행정시와 4·3 관련 기관·단체 관계자, 추념식 준비 전담조직(TF) 위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제주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4·3의 숨결은 역사로, 평화의 물결은 세계로’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추념식에서는 제주4·3의 역사적 의미를 세계 평화의 메시지로 승화하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렸다"고 평가했다.

"올해 추념식에는 4·3추념식 개최 이후 처음으로 국회의장이 참석했으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 주요 정당 대표, 국회의원 등이 대거 참여해 추념식의 위상을 높였다. 희생자 사연 소개와 추모공연은 추념식 참가자들에게 큰 울림을 전했다."

하지만, 큰 오점도 보였다. 윤석열에 대한 탄핵심판 하루 전날 열린 이날 추념식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정치적으로도 읽힐 수 있는 발언하며 논란을 야기했다.

이날 한 권한대행은 현 시국에 대해 "국민적 통합이 매우 절실한 때"라면서 "서로 용서하고 화해하며 다시 일어선 4·3의 숨결로 대한민국을 하나로 모으고 미래로 힘차게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제주 4.3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화합과 상생의 가르침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12.3 내란사태 책임자들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상황에서 용서와 화합을 말하는 것은 섣부르고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지적이다.

이와 같은 발언으로 한 권한대행이 제주도민이 힘들게 정립해 나가고 있는 '4.3정신'을 내란사태 책임 면피용으로 국가 편의적인 ' 용서'와 '화합'으로 전유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자초했다.

평가보고회에서는 국무총리가 3년 연속으로 4·3추념식에 참석한 만큼 향후에는 국가추념일의 위상에 걸맞게 대통령 참석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진명기 행정부지사는 “올해 추념식은 4·3의 전국화·세계화 흐름을 이어가고 세계평화의 섬 지정 20주년을 준비하는 중요한 분기점이었다”며 “앞으로도 4·3희생자와 유족들을 위로하고 국민적 공감대 속에 추념식을 봉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