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항쟁 75주년.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제주를 찾아 극우 세력의 '4·3 망언'과 관련해 유감을 표했다.
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4·3희생자 추념일인 3일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했다. 전직 대통령이 추념식 당일 방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 부부는 위령제단에서 분향한 후, 위패봉안실로 이동해 4·3희생자의 넋을 위로했다.
위패봉안실에서 나온 문 전 대통령은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의원의 4·3망언 이후 극우세력의 제주4·3 폄훼가 추념식 당일까지 이어진 것이 "개탄스럽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배보상 등 정부 차원의 노력으로 상황이 진전된 것에 매우 보람을 느끼면서도, 여전히 4·3을 모독하는 일이 있어 매우 개탄스럽고 마음 아프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은 4·3 특별법 전부 개정 이후 특별재심과 배보상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맞이하는 첫 추념식이다.
문 전 대통령은 이런 점을 강조하며 "4·3의 완전한 치유야말로 진정한 화해와 통합에 이르는 길"이라면서 "(그때까지) 마음으로 함께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재임 중 적어도 2년에 한 번씩 추념식 직접 참가하겠다고 약속드렸는데 지난해에는 임기 마지막 해이자 당시 윤석열 당선자께서 추념식 참석하다보니 저는 못왔다. 오늘 참석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하고 보람있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가 이날 추념식에 불참한 것에 대해서는 "말씀 드린 내용에 이미 다 포함된 것 같다"면서 말을 아꼈다.
김창범 4·3유족회장은 문 전 대통령 방문에 대해 "4·3 특별법 전부 개정 이후 정부차원의 배보상과 특별재심 등 명예회복이 이뤄지고 있지만, 문 전 대통령 개인적 차원에서도 항상 마음에 걸렸던 것 같다"면서 "4·3영령들이 위로를 받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