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동물권 단체 49개로 구성된 '철새와 고양이 보호대책 촉구 전국행동'은 20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동물권 단체 49개로 구성된 '철새와 고양이 보호대책 촉구 전국행동'은 20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라도 고양이를 끝까지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저버린 문화재청과 제주도를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박지희 기자)

천연기념물 뿔쇠오리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마라도에서 반출된 고양이와 관련, 문화재청과 제주도가 "관리 책임을 시민단체에 전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 동물권 단체 49개로 구성된 '철새와 고양이 보호대책 촉구 전국행동'은 20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라도 고양이를 끝까지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저버린 문화재청과 제주도를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지난달 초 전국 동물단체와 협력해 마라도 고양이 45마리를 포획,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소재 도 세계유산본부 건물 뒷편에 마련된 임시보호시설로 옮겼다.

이 중 5마리는 임시보호처로 옮겨졌으며, 입양된 고양이는 아직까지 없다.

임시보호시설은 동물권 단체 요구로 마련됐다. 문화재청과 도 세계유산본부, 서귀포시 등이 회의를 열고 마라도내 고양이를 반출하겠다고 결정한 것에 대해 우려 의사를 표명하면서다.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뿔쇠오리 등 야생조류 생태계에 고양이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행정당국의 판단에 대해서도 "객관적 근거자를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행정당국은 동물단체와 간담회에서 논의한 대로 주민이 입양을 원하는 몇 마리를 제외하고 고양이를 본섬으로 반출하되, 397㎡규모 컨테이너 3개로 이뤄진 임시보호시설에서 보호하겠다고 했다. 시설 책임은 본부 측이 총괄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국행동은 이날 회견에서 "고양이를 보호하겠다던 문화재청과 유산본부는 반출이 마무리되자 모든 책임을 시민단체에게 떠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양이들에게 허용된 공간은 가로 80cm, 높이 60cm에도 채 미치지 않는 새장과 같은 케이지가 전부"라면서 "아울러 제대로 된 사전 준비 없이 급하게 이뤄진 졸속 행정으로 고양이를 돌보기 위한 용품 중 대다수를 시민단체 후원금으로 조달해야 했다. 매일 이뤄지는 돌봄 관리도 시민단체의 몫"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산본부 측이 도내 언론을 통해 '입양문의가 들어오고 있지만 입양 조건이 엄격해 실제로 이어지진 않는다'거나 '컨테이너 냉난방이 안 돼 고양이 건강이 걱정된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전국행동은 "당국은 언론에 유동네의 방침 탓에 입양이 성사되지 않는 듯 표현하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한달 반 가량 '유기동물 없는 제주네트워크'가 전달받은 입양문의는 단 2건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적절한 입양처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다른 곳으로 보내겠다는 말 역시 마라도에서 고양이를 쫓아냈듯 유산본부에서도 치워버리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화재청과 유산본부는 고양이 보호에 책임이 있지만 올바른 대책을 세우기는 커녕 여전히 진실을 호도하고 회피하기 급급하다"면서 "한여름 폭염에 고통받을 마라도 고양이와 돌봄 시민들의 안전조치 및 입양화를 위한 노력에 직접 나서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