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0일 최고위원직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지만 4·3 왜곡 발언에 대한 사과는 없었다. 이에 태영호·김재원 최고위원에 대해 법적 대응을 예고했던 4·3희생자유족회 등은 “실망스럽다”는 입장이다.
이날 양성주 제주4·3희생자유족회 외무부회장은 “자진 사퇴를 한 배경에 ‘4·3 왜곡 발언’에 대한 책임은 없는 것 같고 ‘공천 녹취록 논란’ 때문이지 않겠느냐”며 “지난 2월 4·3평화공원 다녀간 뒤 사과 의지도 없어 보이고 왜곡된 발언을 계속 이어나갔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족들이 분노하고 있는 부분도 그런 지점”이라며 “기대도 안했지만 실망스럽다. 4·3 왜곡 발언에 대해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지 않는다면 법적인 대응 방안을 계속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제주민예총 이사장은 “태 최고위원의 자진 사퇴는 본인의 정치적인 탈출구를 찾기 위한 꼼수”라며 “국민의힘 윤리위가 (자진 사퇴 발표에 영향을 받아)태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수위를 낮춘다면 국민의힘도 태 최고위원과 다를 바 없다. 보수정당의 4·3에 대한 진정성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한편 국민의힘 윤리위원회는 이날 오후 6시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어 태영호·김재원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당규에 따르면 윤리위 징계는 경고, 당원권 정지, 탈당 권유, 제명 등이 있다. 만약 당원권 정지 1년이 결정될 경우 내년에 있을 총선 공천에서 배제된다. 이 때문에 태 최고위원의 자진 사퇴 목적은 징계 수위를 낮추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앞서 태 최고위원은 지난 2월 4·3평화공원에서 참배한 뒤 “4·3사건은 김일성의 지시에 의한 것”이라는 발언을 하고 이후에도 “발언에 잘못된 점이 없다”는 식의 입장을 취해왔다.
이에 4·3유족회를 비롯한 관련 단체들은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국민의힘을 상대로 두 최고위원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하며 지난달엔 국민의힘 윤리위에 제소하기도 했다.
- 4·3 유족·단체, 태영호·김재원 국힘 윤리위 제소
- 제주사회 “태영호·김재원, 4·3 망언 21일까지 사죄” 촉구
- 국힘 김황국, "일부 의원 등 4·3 부적절 발언 진심으로 사과"
- 강병삼 "4·3왜곡 현수막 강제 철거, 적극 행정 선례"
- 4·3연구소 “국민의힘, 4·3희생자 모독한 김재원·태영호 제명해야”
- 제주4·3 왜곡 현수막 논란..."극우적 망언 반복"
- 4·3희생자 등 명예훼손 시 '징역 최대 5년'...'4·3왜곡방지법' 국회 통과할까
- '4·3 망언' 태영호...국민의힘 최고위원 선출
- 4·3유족회, 국회서 “태영호 징계·4·3 왜곡 방지 특별법 개정” 촉구
- 4·3유족회, 20일 국회서 태영호 의원직 사퇴 촉구 기자회견
- 오영훈 “국민의힘, ‘4·3 망언’ 태영호 제명·공식 사과” 촉구
- ‘태영호 4·3 망언’ 서울서도 비판 거세..“즉각 퇴출” 목소리도
- “태영호, 4·3 망언 사과하고 후보 사퇴해야” 제주지역 한목소리
- 태영호 4·3 왜곡 발언 논란...허용진 "북한식 사고...적절하지 않아"
- 태영호 "4·3, 김씨 일가 자행"...4·3유족회, "왜곡·망언..사과해야"
- '4·3 왜곡' 태영호 "원고, 발언 잘못 해석 ... 명예훼손 아냐" 입장 고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