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은 북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자행된 만행”이라고 발언한 국민의힘 태영호 국회의원(서울 강남구갑)에 대해 사과와 함께 최고위원 후보직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지난 12일 태 의원은 제주4·3평화공원에서 참배한 뒤 ‘김일성 4·3사건 지시’ 등 역사를 왜곡한 말을 쏟아냈다.
이에 제주사회에선 4·3 유족회 등 관련 단체는 물론, 도지사와 국회의원, 정당 측에서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오영훈 지사는 14일 입장문을 내고 “역사적 비극을 정치적으로 악용한 태영호 국회의원은 4·3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며 “태 의원의 거짓 주장은 대한민국 정부가 발간한 진상조사보고서를 부정하고, 여야 합의로 제정된 4·3특별법 취지에 정면 배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지지를 얻기 위해 4·3을 왜곡·폄훼하고 희생자와 유족의 아픈 상처를 후벼파는 망언을 한 태영호 의원은 본인의 발언에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며 “4·3의 치유와 명예회복에 앞장서겠다고 한 국민의힘도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역 정당도 태 의원의 망언을 규탄하는 데 같은 목소리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은 “태 의원의 주장은 색깔론으로 도민사회를 갈라치고 현혹하는 것이며 제주4·3을 폄훼해온 극우 진영의 논리와 다르지 않다”며 “4·3은 오늘날 정의로운 해결을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특히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 대선 당시 제주를 찾아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약속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철 지난 색깔론으로 유족과 제주도민에게 상처를 준 태 의원은 즉각 사과하고 최고위원 후보를 사퇴해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4·3 흔들기’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피력했다.
정의당 제주도당은 “4·3희생자들에게 용서를 구한다는 진정성도 믿을 수 없으며 오히려 보수층을 결집시켜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제주4·3을 악용하려 한다는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며 “4·3유가족과 제주도민들에게 즉각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태 의원은 자신의 발언에 대해 논란이 거세지자 이날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내가 한 일이란 김일성 일가 정권에 한때 몸담았던 사람으로서 참혹하고 무참히 그리고 무고하게 당한 희생자들에게 용서를 구한 것”이라며 “나의 용서 구함을 부디 순수하고 진실하게 받아주었으면 한다”고 입장을 냈다.
한편 4·3의 발단은 1947년 3월1일 기념행사가 열리던 날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인해 도민 6명이 목숨을 잃은 ‘3·1발포사건’이다. 미군정과 경찰이 유족에 대한 사과 또는 진상조사도 없이 사건을 무마하고 넘어가려 하자 도민사회가 반발해 열흘 뒤 전도(全島)적인 총파업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흐름은 이듬해 ‘4·3 무장봉기’가 발발한 배경이 됐다.
대한민국 정부가 채택한 공식보고서인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에는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라고 4·3을 정의하고 있다.
- 태영호 4·3 왜곡 발언 논란...허용진 "북한식 사고...적절하지 않아"
- 태영호 "4·3, 김씨 일가 자행"...4·3유족회, "왜곡·망언..사과해야"
- ‘태영호 4·3 망언’ 서울서도 비판 거세..“즉각 퇴출” 목소리도
- 오영훈 “국민의힘, ‘4·3 망언’ 태영호 제명·공식 사과” 촉구
- 송재호, ‘제주4·3 왜곡 및 방지’ 특별법 개정안 발의한다
- 4·3유족회, 20일 국회서 태영호 의원직 사퇴 촉구 기자회견
- 4·3유족회, 국회서 “태영호 징계·4·3 왜곡 방지 특별법 개정” 촉구
- 국힘 김황국, "일부 의원 등 4·3 부적절 발언 진심으로 사과"
- 태영호 최고위원직 사퇴..4·3유족 “사과 없으니 법적 대응 입장 변함없다”
- '4·3 왜곡' 태영호 "원고, 발언 잘못 해석 ... 명예훼손 아냐" 입장 고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