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민주노총 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 제2공항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기자)
4일 오전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민주노총 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 제2공항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조류충돌’ 위험성과 관련해 제주 제2공항 또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4일 오전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민주노총 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교통부는 제주 제2공항 조류충돌 위험 은폐·축소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비상도민회의는 “(무안공항) 12·29참사 이후 전국 공항 곳곳에 안전에 치명적인 로컬라이저 시설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박상우 국토교통부장관은 참사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 로컬라이저에 대해 ‘규정에 맞게 시설됐다’고 강변하며 변명하기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에서 시작된 제2공항 계획은 문재인 정부 환경부가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반려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며 반려된 전략환경영향평가서가 통과됐다”며 “8개 밖에 없다던 숨골은 153개가 있다고 인정했고, 숨골에 대한 보전대책과 안전성 검증은 없었다. 조류충돌 위험성과 서식지 보전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또 "국토부는 안전을 강조하면서도 제2공항 조류충돌 위험성이 (최대) 제주공항의 8.3배가 된다는 한구환경연구원(KEI)의 의견은 무시하고 제2공항을 강행 추진했다"고 말했다. 

제주 제2공항 예정부지인 대수산봉 주변에 수백 마리 까치들의 비행이 관찰됐다. (사진=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제공)
제주 제2공항 예정부지인 대수산봉 주변에 수백 마리 까치들의 비행이 관찰됐다. (사진=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제공)

더불어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는 조류유인시설(양돈장, 과수원, 식품가공공장,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에 속하는 양식장과 음식점 등이 현장조사에서 제외됐다”며 “조류충돌 위험에 대한 은폐와 축소를 노린 속임수”라고 문제제기했다. 

더불어 “예정 입지 3km 내에 감귤 과수원이 다수 있고, 8km 이내에는 조류보호구역 4곳과 대표적인 조류유인시설인 양식장 2곳이 있다”며 “3km 내에 있는 양돈장 2곳을 매입해 활용할 계획을 제외하고 이외 위험요소에 대한 영향을 축소하고,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비상도민회의는 “제주 제2공항 후보지 주변에서 발견된 조류 172종 중 39종만이 충돌 위험성 평가에 포함됐다”며 “이전 충돌 사례가 없던 종이 앞으로 부딪히지 않을 거란 보장이 없다. 이는 엉터리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라고 지탄했다. 

그러면서 “12·29참사는 안전불감증과 비전문성이 부른 것으로, 입지 타당성부터 잘못된 제주 제2공항을 비롯한 신공항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며 “오영훈 도정은 영혼 없는 환경영향평가 검증 운운 말고, 해소되지 않은 쟁점에 대해 사전 검증하라”고 요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