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학생과 교수, 동문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두고 “민주주의가 무너지는 모습을 목격했다”며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제주대학교 학생들은 5일 오후 제주대학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한복판에 무장한 계엄군들이 쳐들어오는 모습을 보고 과거의 역사가 반복되고 있다고 느꼈다”고 전했다.
이어 “비상계엄 이전에도 2년 반 동안 윤석열 정부를 겪으며 대학생은 물론 어떤 국민도 생각하지 않는 정부임을 알고 있었다”며 “159명이 스러져간 이태원 특별법안을 거부했고, 사람을 구하다 죽음을 맞은 채 상병이 사망했고, 의료대란 등 일일이 나열하기도 어려운 일들을 일으켰다”고 말했다.
또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을 목격하고서도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듯이 아등바등 살아갈 것을 요구하는 정권 아래, 우리의 삶은 인간다운 삶이 아닌 그저 ‘생존’이 됐다”며 “마땅히 분노한 시민들이 거리에 촛불을 들고 나서자 그에 응한 답변으로 비상계엄이 돌아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념 외교, 법인세 감세, 복지정책의 후퇴, R&D예산 삭감 등 무식한 사회정책으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후퇴를 불러 일으켰다”며 “우리는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를 억압해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려는 비민주주의자 윤석열 대통령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내란을 조장한 것에 사죄하고 즉시 퇴진할 것, 국민의힘은 윤석열 퇴진 반대 당론을 철회할 것, 대통령과 그 주변인물들은 철저히 수사에 응하고 법적인 책임을 질 것”을 요구했다.
제주대학생들이 공개한 시국선언 연명 학생 및 단체는 94명이다. 학생들은 시국선언 이후 연명인 수가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운영위원회도 5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했다. 인문대학교 운영위원회는 국어국문학과와 영어영문학과, 독일학과, 일어일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사학과, 사회학과, 철학과 등 8개 학과 학생회장단과 인문대학 학생회장단으로 구성됐다.
인문대 운영위는 “‘제주4·3정신을 계승하고 고 양용찬 열사,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희생했던 열사들의 뜻을 받들어 학내 문제와 사회 문제에 목소리 내며 투쟁할 것을 선언한다’는 학생회칙 전문에 의거 국가의 정상화와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위해 행동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인문대 운영위는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국가의 내란을 조장하고 민생 파탄에 일조한 데 대해 사과와 함께 즉각 퇴진”할 것을 촉구했다. 또 비상계엄 선포에 참여한 국가 인사들의 즉각 퇴진과 국회를 상대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가결할 것을 요구했다.
제주대학교 교수회도 전날(4일) 전국국·공립대학교수연합회와 함께 시국성명서를 내고 “윤석열 대통령의 불법적 비상계엄 선포를 민주주의와 인권을 무너뜨리는 중대한 범죄로 규정한다”며 “윤 대통령의 탄핵 및 비상계엄 선포 관여자들에 대한 수사·처벌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제주대학교 민주동문회도 5일 시국선언문을 통해 “많은 국민을 고통으로 몰아가는 윤석열 정권을 탄핵시키고 반헌법적 비상계엄으로 국가변란을 일으키려 한 윤석열 정권을 몰아내기 위한 투쟁의 길에 함께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주대 동문회는 “윤석열 정권은 비상계엄을 실시해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를 총칼로 통제하려고 하는 등 명백한 헌법유린과 법률위반으로 내란죄나 반란죄로 단죄해야 마땅하다”며 “앞서 윤석열 정권의 지난 3년 동안 해방 이후 70여년 간 독재와 맞서 투쟁과 희생으로 얻어진 민주주의 시스템이 부정돼 왔다”고 질타했다.
제주대동문회는 “나라 안팎의 경제지표는 폭망하고 있고, 서민의 살림살이는 벼랑 끝에 몰려있으며 극우 친일들이 나라의 요직을 독차지했다”며 “더 우려스러운 것은 남북간 군사적 긴장관계를 드높여 군사충돌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한반도 기장이 고조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역사는 부패한 독재세력이 민중의 저항으로 반드시 무너진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며 “87년 6월항쟁과 8년 전 촛불혁명 때처럼 백척간두의 조국의 현실 앞에서 무너져내린 민주주의를 다시 올곧게 세우는 투쟁의 길에 함께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