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덕천리 마을 주민들이 화북공업지역 덕천리 이전 입지 검토에 반대하며 7일 제주도청을 항의 방문했다.
주민들은 오영훈 도지사와의 면담을 요청하며 화북공업지역 덕천리 이전 계획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지만 오영훈 도지사가 부재해 면담은 이뤄지지 않았다.
덕천리 주민들은 이번 항의 방문에 대해 도청 관계자와의 면담에서 “오영훈 도지사와의 면담 일정을 잡아달라는 공문을 여러 차례 보냈지만, 도청이 마을 주민들을 무시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덕천리는 상덕천과 하덕천으로 나뉘어지는데, 화북공업지역 이전 후보지는 상덕천 쪽에 인접하고 있다. 상덕천 지역 주민들은 화북공업지역 덕천리 이전 검토 부지가 상덕천에 붙어 있고 1차 피해 지역으로 예상되는데 상덕천 주민들의 반대 의견은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공업지역 이전 관련 적절한 정보 제공과 공론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 제기도 나오고 있다. 설명회가 도청 주도하에 주민들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기습적으로 진행되었고, 설명회 이후 마을 주민 간의 찬반 갈등이 심해져 공동체가 파괴되어 가고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이화인 비상대책위원장은 후보 부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임을 강조하며 도민의 식수원 보호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덕천리) 후보 부지는 제주에서 가장 자랑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이다. 게다가 멸종위기야생생물 1등급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이며 곶자왈이다. 그리고 지하수자원보존 1등급 지역이기 때문에 도민의 식수원"이라면서 이런 지역에 공업지역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오영훈 도정을 성토하고 있다.
이화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런 곳에 화북공단 뿐만 아니라 제주 전역의 공장을 이전시켜 산업단지를 만들겠다니 이걸 덕천리 주민들과 도민들이 어떻게 용납하나? 어서 빨리 백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