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화북공업지역 내 입주기업을 이전하려던 계획을 변경한다. 대체 입지를 선정해 이전하는 것이 아닌 기존 화북공업지역의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22일 도는 화북공업지역을 대체할 후보지로 선정한 지역의 주민 동의를 얻지 못해 이전 계획을 장기과제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는 지난해 2월부터 용역을 거쳐 화북공업지역을 이전할 후보지로 6곳을 선정했다. 이후 교통여건과 주민 수용성 가능성 등을 고려해 조천리를 1순위, 덕천리를 2순위 후보지로 결정했다.
하지만 조천리와 덕천리 모두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이전’이라는 기존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에 도는 올해 예산 3억원을 투입해 화북공업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미래전략산업을 유치하는 등 종합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주민 갈등의 원인이 됐던 주거환경 저해시설의 신규 입지를 제한하고 미개발 유휴부지는 미래전략산업을 유치하는 등 융복합거점구축 지역으로 지속 관리할 방침이다.
도시계획전문가와 지역주민, 입주기업,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워킹그룹을 운영하고 화북공업지역 관리 및 활성화 방안, 미래전략산업 업종 등을 발굴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는 현재 추진 중인 공업지역기본계획이 마무리되면 산업혁신형 정비구역 지정 등을 통해 입주기업과 지역주민이 상생하는 방안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이창민 제주도 15분도시추진단장은 “화북공업지역 입주기업의 대체입지 선정과 관련해 주민수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부득이하게 장기과제로 검토할 수 밖에 없게 됐다” “앞으로 공업지역기본계획과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화북공업지역의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화북공업지역 입주기업 이전 계획을 두고 제주 시민사회에서는 오영훈 도정의 ‘폭탄 돌리기’라는 거센 비판이 있었다. 세계자연유산 마을로 지정될 정도로 보전 가치가 높은 자원(오름군락, 용얌동굴, 곶자왈 등)을 훼손하고 상수원을 오염시킬 우려 때문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제주도가 일부 주민만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개최, 주민 수용성에도 절차적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제주도정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악화하는 기피 시설을 상대적으로 주민 수가 적은 (도심이 아닌)마을에 조성하는 데 대해 부당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덕천리 주민과 제주녹색당을 비롯한 시민사회는 기존 화북공업지역의 시설 현대화를 통해 인근 환경 개선을 도모하는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기자회견과 성명 등을 통해 요구해왔다.
- 덕천리 주민들 "화북공업지역 이전 안돼"...도청 항의 방문
- ‘화북공업지역, 덕천리 이전 반대’ 성탄절 후원 행사 개최
- 화북공업지역 덕천리 이전?...제2의 월정리 하수처리장 갈등 야기한다
- 덕천리, 세계적 희귀식물 자생지로 확인..“화북공업지역 이전 계획 중단해야”
- "오영훈 도정, '폭탄 돌리기'로 공업지역 이전 말고 기존 시설 현대화 고민해야"
- "세계자연유산마을 덕천리에 공업단지? 절대 반대"
- 덕천리 주민 등 1744명 "화북공업지역 이전 반대"...오영훈 지사에 공개 서한
- 화북공업지역, 환경친화적 현대화로 출구 찾아야
- 화북·삼양 발전 위해 중산간마을 희생하나
- 제주 화북공업지역 이전 중단 “난개발 폭주 멈추는 계기되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