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전 제주청소년기후평화행동은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버스 완전공영제’ 추진을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기자)
15일 오전 제주청소년기후평화행동은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버스 완전공영제’ 추진을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기자)

제주 청소년들로 구성된 환경단체가 제주 버스준공영제에 문제제기하면서 ‘완전공영화’를 촉구했다. 

15일 오전 제주청소년기후평화행동(이하 제청기행)은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위기 시대 청소년들이 버스를 자유롭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제청기행은 지난해 11월 도내 청소년 60여명을 대상으로 버스 이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너무 긴 버스 노선 시간’, ‘현금 없는 버스 시행 후 혼란 발생’, ‘갑작스러운 버스 시간 변경으로 일정에 차질’ 등 답변이 나왔다. 해결책으로는 ‘버스정류장 추가 설치와 기존 버스정류장 정비’, ‘교통비 지원’ 등이 제시됐다. 

단체는 “버스회사는 대중교통 이용객이 많은 곳에만 노선을 많이 두면서 버스 이용객이 적은 곳에는 노선을 줄일 때가 있다”며 “이에 대한 불만을 표현했을 때 버스회사가 무시해도 제주도정은 아무런 제재를 가하지 않는다. 제주도정이 버스회사가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방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버스 준공영제는 노동자들의 인건비를 보장해주지도 않는다. 한 버스회사는 도에서 지원해주는 인건비를 더 받기 위해 고령의 노모를 임원으로 등재한 일도 있었다”며 “임원 인건비는 인당 1억7333만 원인데 노동자들의 인건비는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전남 신안군 버스 1대당 표준운송원가가 7200만 원인데, 제주도는 1억5700만 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또 “제주도지사를 포함한 제주도 관계자들은 편히 차를 타고 다니므로 제주 청소년과 도민들이 타는 버스에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인가”라며 “겉으로는 환경을 위한 것처럼 보이지만 속을 자세히 보면 대중교통 정책 중에는 버스 노선을 줄인다는 내용이 있다. 자칭 탄소중립을 위해 해왔던 섬식정류장 시범 설치, 재생에너지 확대 등은 그저 보여주기식이었나”라고 비판했다. 

단체는 “청소년과 어린이들은 버스를 놓쳤을 때 대안의 폭이 넓지 않다. 택시를 이용하기엔 애매한 거리와 부담되는 이용비가 발목을 잡고, 어쩔 수 없이 걸어다니거나 부모님의 차를 얻어타야 한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청소년들이 버스를 이용하기 어려워 대안으로 차를 이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도내 버스회사는 과도한 지원금을 요구하지 말고 필요한 지원금만 받아 정당하게 사용하고 버스 이용객들의 민원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이용객들의 불편함을 줄여야 한다”며 “실패한 준공영제에서 벗어나, 제주 청소년과 도민들이 자유롭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완전공영제라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