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10회를 맞은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 ‘평화야 고치글라(같이 가자)’가 22일 시작됐다. 대행진은 지난 2012년 ‘강정생명평화대행진’으로 시작해 2016년 제주 제2공항 등 제주 전역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며 ‘제주생명평화대행진’으로 확대됐다. 행진단은 제주 전역의 극심한 갈등을 일으킨 ‘강정 해군기지’와 ‘제주 제2공항’ 예정부지인 성산 등을 걸으며 생명과 평화를 향한 열 번째 외침을 이어간다. 10년이 넘도록 제주의 ‘생명’과 ‘평화’를 외치고 있는 대행진의 행렬에 제주투데이가 2박 3일 간 동행하며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편집자주> 

지난 22일 박찬식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집행위원장이 2012생명평화대행진 기념 손수건을 펼쳐 보이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지난 22일 박찬식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집행위원장이 2012생명평화대행진 기념 손수건을 펼쳐 보이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이거 한 번 볼래요? 얼마 전에 산에 간다고 손수건을 챙겼는데. 아니 글쎄 '2012 생명평화대행진'이 쓰여 있는 거예요. 이걸 보고 ‘아 내가 대행진에 모두 참석했구나’를 알았죠.”

지난 22일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 첫째 날 저녁 식사줄을 기다리며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다 박찬식 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이 갑자기 무엇인가가 떠올랐다는 듯 목에 둘렀던 손수건을 풀었다. 그가 ‘자랑스럽게’ 펼쳐 보인 녹색 손수건엔 ‘2012 생명평화대행진’이라는 글씨가 쓰여져 있다. 

생명평화대행진에 10차례 모두 참여한 사람을 애타게 찾았던 터라 허기도 잊은채 인터뷰를 시작했다. 2012년 ‘강정’ 이름으로 첫 발을 뗀 대행진은 박 위원장의 말에 따르면 “어마어마한 밥”이 먼저 떠오르는 행사였다. 그는 7차례는 ‘육지사는 제주사름’ 소속으로, 최근 3차례는 비상도민회의 소속으로 참가했다. 

지난 22일 오전 제주해군기지 앞에서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이 출범 기자회견을 마치고 힘차게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박찬식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집행위원장이 맨 앞에서 깃발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지난 22일 오전 제주해군기지 앞에서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이 출범 기자회견을 마치고 힘차게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박찬식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집행위원장이 맨 앞에서 깃발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오늘 힘들진 않으셨어요?

“높은 깃발을 들고 걸으려니 오전에 비바람 심하게 불 땐 휘청거리기도 했는데, 뭐 그 외엔 할 만했어요. 이 정도야 뭐. (웃음)”

-‘강정’으로 시작했던 대행진은 어땠나요?

“엄청난 양의 밥이 떠올라요. 그때 동진(강정에서 동쪽 방향으로 제주시로 올라가는 행진팀)과 서진(강정에서 서쪽 방향으로 제주시로 올라가는 행진팀)이 각 300명 정도 됐어요. 식사 준비를 300명분을 해야 했으니… 그 많은 밥을 강정주민들이 해서 날랐어요. 아침에 쌀 씻고 지어서 식사 장소로 보내고 행진 참여자들이 밥을 다 먹으면 또 바로 식기를 설거지하고, 바로 밥 짓고 다음 식사를 준비하고. 부녀회분들이 정말 고생 많았죠. 그야말로 어머어마한 밥이었지. 지역 활동가들도 그땐 행진에 참여해서 걷는 게 아니라 밥 준비에 다 투입될 정도였으니까요.”

-그때와 비교하면 지금은 행진에 참여하는 분들 숫자가 줄어들긴 했네요.

“지금 참여자 수가 적다기 보다는 강정 투쟁 때 기적적인 숫자의 사람들이 모였던 거라고 봐야죠. 그만큼 투쟁이 절실했어요. 해군기지를 막아야 한다는 절실함. 주민들이 처절하게 싸웠죠. 결국 해군기지가 들어서면서 강정주민들이 빠지게 된 측면이 있기도 하고. 또 청소년 학생들이 많이 참여를 했는데 행진 일정이 7월에서 8월로 바뀌면서 개학 때문에 오지 못하는 가족이나 학생들도 많고요.”

23일 열린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 '제2공항 백지화 연대의 밤'에서 박찬식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양유리 기자)
23일 열린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 '제2공항 백지화 연대의 밤'에서 박찬식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양유리 기자)

-하루에 수십킬로를 걷는 일정인데 어린 청소년들이 많이 참가를 했었군요.

“그 부분이 바로 강정 투쟁의 가장 큰 성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행진이라는 한국에서 유일한 대중평화운동을 남긴 거예요. 청소년과 청년들에게 이 행진이 평화 교육의 장인 거죠. 우리나라엔 이렇다할 대중적인 평화운동이 없거든요. 담론 수준에서 그치는 게 대부분이잖습니까. 치열한 투쟁에서 생겨난 어머어마하고 중요한 성과입니다. 규모가 줄었느냐, 늘었느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닙니다. 15년이 넘는 강정 투쟁에서 얻은 ‘대중평화운동’을 어떻게 이어나갈 것이냐가 중요한 과제이죠. 그 의미를 살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이 같이 해봅시다.”

24일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 3일차 서귀포시 성산읍 대수산봉 정상에서 박찬식 집행위원장이 제2공항 예정지를 가리키며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유리 기자)
24일 2024제주생명평화대행진 3일차 서귀포시 성산읍 대수산봉 정상에서 박찬식 집행위원장이 제2공항 예정지를 가리키며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유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