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수 도의원과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놓기 자료사진. (사진=제주도의회 및 제주시, 편집=조수진 기자)
양영수 도의원과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놓기 자료사진. (사진=제주도의회 및 제주시, 편집=조수진 기자)

최근 제주도의회가 기후위기에 역행하고 산불 위험이 있다는 비판이 있어 폐지됐던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놓기’를 부활시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에 찬성했던 양영수 도의원(진보당·제주시 아라동을)이 도민을 상대로 뒤늦게 사과했다. 

지난 24일 도의회는 432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목초지(오름) 불놓기’가 포함된 ‘제주도 정월대보름 들불축제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통과시키면서 제주시민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 이날 재석의원 37명 중 찬성 33명, 반대 1명, 기권 3명이었는데 양영수 의원은 찬성 의원 중 한 명이다. 유일하게 반대 표결을 한 의원은 송창권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외도·이호·도두동)이었다. 

조례안이 통과하자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은 성명을 내고 “산불위기 시대에 오름에 불을 놓는 만행을 통과시킨 제주도의회를 규탄한다”고 거세게 비판했다. 

이들은 “들불축제의 오름 불놓기는 전통목축문화와도 관계가 없으며 산불 위험과 생물다양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정상적인 행태인지 되묻고 싶다”며 “산불이나 들불을 인위적으로 놓을 수 있는 조항을 삽입한 조례는 전국적으로 최초다. 기후위기와 산불위기 시대에 인위적으로 자연에 불을 놓겠다는 자치법규가 만들어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제주녹색당은 지난해 4월18일 '새별오름 들불축제 숙의형 정책개발 청구인 서명부'를 제주시 담당부서에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독자 제공)
제주녹색당은 지난해 4월18일 '새별오름 들불축제 숙의형 정책개발 청구인 서명부'를 제주시 담당부서에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독자 제공)

이후 양 의원은 지난 28일 입장문을 내고 “(해당 조례안에 대해)충분한 소통 없이 표결이 이뤄져 많은 우려를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환경을 지키고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제주의 미래를 열어 나가야 하는 도의원으로서 역할에 더 충실하겠다”고 밝혔다. 

양 의원은 제주도의원 중 유일한 진보정당 소속 의원이자 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연구포럼’ 부대표이기도 해, 이번 찬성 표결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해당 조례안에 대해 재의를 요구하지 않고 공포하면 앞으로 오름 불놓기가 재개될 수 있다. 다만 산림보호법과의 충돌하는 점이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장(제주도지사)의 허가가 있어야 불놓기 행사가 가능하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앞서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하며 산불 위험이 있는 오름 불놓기를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자 제주시는 지난해 이를 논의하는 숙의형 원탁회의를 진행한 바 있다. 회의 운영위원회는 지역 문화가치를 지키며 ‘생태·환경·도민참여’의 가치를 중심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제주시는 지난 6월 원탁회의 결과를 반영해 ‘2025 들불축제 기본계획’을 수립했고 오름 불놓기를 대체하는 콘텐츠를 구상하는 안을 내놨다.

지난해 오영훈 도지사 역시 도정 현안 공유 간담회에서 “기후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이나 아시아, 세계적인 분위기가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며 “제주들불축제의 발전 방향을 다시 한 번 논의해야 할 때”라고 '불 놓기'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