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불축제 재개 조례안(들불축제 지원에 관한 조례안)'은 재석의원 37명 중 찬성 33표, 반대 1표, 기권 3표로 통과됐다. 더불어민주당의 몰표가 나왔다. 반대표는 더불어민주당 송창권 의원이 유일했다.(사진=제주도의회 영상 갈무리)
'들불축제 재개 조례안(들불축제 지원에 관한 조례안)'은 재석의원 37명 중 찬성 33표, 반대 1표, 기권 3표로 통과됐다. 더불어민주당의 몰표가 나왔다. 반대표는 더불어민주당 송창권 의원이 유일했다.(사진=제주도의회 영상 갈무리)

기후위기 문제 해결과 적극적인 탄소중립 실천이 전 세계적인 과제가 되었다. 하지만 제주도의회는, '오름 불놓기' 재개 조례안을 통과시키면서 제주는 물론 전세계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에 역행하며 찬물을 끼얹었다.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하는 구태 정치의 모습을 역력히 보여주고 있다.

국민의힘 고태민 도의원의 오름불놓기 재개 발의안에 민주당 도의원들이 대거 찬성표를 던졌다. 왤까? 의원들이 서로서로 자신이 발의한 안건에 대한 찬성을 부탁하는 관행 때문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유야 어떻든, 민주당 의원들은 같은 당 소속 오영훈 제주지사의 반대편에 섰다.

오영훈 지사는 이미 여러 차례 공식적으로 '오름 불놓기'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오 지사는 이번 조례안에 대해서 도의회에 재의를 요구했다. 산림보호법 위반 등 조례안의 문제를 거론했다. 합당하다.

'오름 불놓기'는 산불 위험과 탄소 배출 문제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왔다. 석유를 쓰다가 비판을 받자 최근에는 화약을 이용하여 불을 붙여 왔다. 이처럼 화학 물질을 태워가면서 불을 놓은 전통은 제주도에 없다. 제주시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내년부터는 '불놓기' 없는 들불축제를 기획하고 있다.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축제를 위해 거듭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고태민 도의원이 사회적 요구와 환경 영향, 기후위기 시대의 문제의식을 무시하고 '오름 불놓기'를 재개하려는 조례안을 발의하고, 민주당 의원들은 대거 찬성표를 던져 통과시켰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치적 책무를 망각한 처사다.

도의원들은 기후위기 시대, 제주가 가야할 길을 생각해야 한다. 시대에 뒤떨어진 '오름 불놓기'가 아닌 지속 가능한 축제를 위해 머리를 맞대어야 한다. '탄소중립 선도도시' 선정된 제주의 도의회는 달라야 한다. 억지 전통을 명목으로 환경 파괴를 정당화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